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귀와 코의 구조, 기능, 질환

by hotcold 2022. 9. 26.
반응형

 

 

1.귀의 구조, 기능 및 질환

1) 귀의 구조와 기능

외이

귓바퀴: 소리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외이도: 음을 전달하는 곳이다.

고막: 외부로부터 들어온 소리를 진동시켜 외이에서 이소골까지 음파를 전달하며, 중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중이

이소골: 고막으로부터 공기 진동을 기계적 진동으로 바꾸어 내이로 전달한다.

중이관(유스타키오관, 이관): 비인후와 중이를 연결하는 관으로, 고막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과 평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난원창과 정원창: 음파를 내이로 전달, 내이에서 나오는 음파의 출구 역할

유양돌기: 중이가 압력 변화에 적응하게 한다.

내이

전정: 이소골의 진동이 전정의 외림프액에 전파된다.

달팽이관: 청각을 수용하는 코르티기관이 있어 음파가 신경성 흥분으로 전환된다.

세반고리관(삼반규관): 평형감각을 담당한다.

청신경: 청각신경과 평형신경의 2신경으로 나뉜다.

 

*귀 수술 대상자의 간호 및 주의 사항

침상 안정(24~48시간)을 취하고, 적합한 체위(앙와위는 안됨, 좌위가 좋음-수술부위가 위로가게함)를 유지한다.

감염 증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머리를 갑자기 움직이지 않는다.

귀나 드레싱에 압박을 금하고, 침대 난간을 설치한다(어지러워 떨어질 수 있음).

조기 이상(일어서는 것) 후 보행 시 동행하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현훈감(어지럼증)의 증가 행동은 피하고,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한다.

두통, 이명이 있으면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재채기나 기침, 코풀기를 금지하고, 식사는 미음(유동식-질질 흐르는 식사)으로 제공한다.

감기(기침)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변비(힘을 주면 압력이 올라서 안됨)를 예방한다.

기침을 꼭 해야하면 임을 아~ 벌린다.

 

 

2) 귀 관련 질환

장액성 중이염

정의: 급성이나 만성 상태로 중이 내에 장액 점액이 차 있는 상태이다.

증상: 귀가 꽉 막히는 느낌, 청력 상실, 대상자 자신의 음성이 부자연스럽게 공명된다.

치료 및 간호: 중이관의 팽창, 삼출액 흡입, 수술 요법(: 고막 절개술)

메니에르병

정의: 미로의 확장과 내림프의 양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내이의 장애이다.

원인: 내림프의 흡수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스트레스.

증상: 오심, 구토가 있는 현훈, 이명, 감각신경성 난청, 균형 장애, 청력 감소.

 

 

2. 코의 구조, 기능, 질환

1) 코의 구조와 기능

코의 구조: 코는 크게 피부, 뼈 부분 및 연골 부분으로 나뉜다.

코의 기능: 콧등을 지지하는 역할, 얼굴의 정중앙에 자리잡고 있어 미용적으로 중요, 후각 및 호흡에 있어서도 중추적인 역할.

 

2) 코 관련 질환

알레르기 비염

원인: 집먼지 진드기, 실내에서 기르는 동물의 비듬, 바퀴벌레 분비물, 꽃가루 등.

증상: 재채기, 코막힘, 콧물, 코나 입천장, , , 귀의 가려움, 후각 감소 등.

예방: 먼지, 온도의 변화, 담배연기나 매연, 화장품, 스트레스 등을 피하고 주변을 청결하게 함. 온도 변화는 점진적으로 진행, 꽃가루가 많은 계절에는 창문을 닫고 외출 시 마스크 착용, 애완동물 기르지 않기, 면제품 사용, 항히스타민제, 교감신경 자극제 투여.

비출혈(코피)

원인: 외상, 염증, 악성종양 등의 국소적인 원인과 혈액 질환, 순환기 질환(고혈압), 기압의 변동 등 전신적 원인.

치료 및 간호

·우선적으로 코피가 비인두로 넘어가 기도로 흡인되지 않도록 대상자의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의자에 앉힌다.(고개를 뒤로 젖히면 기도가 열려 코피가 들어갈 수 있어서 위험하다)

·옷을 느슨하게 풀어 주고 창가로 데리고 가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게 한다.

·코를 풀지 못하게 하고, 유동식(건더기가 없는 식사)을 제공하며, 구강 간호를 시행한다.

·혈액이 기도로 넘어갈 수 있으므로 입으로 숨을 쉬게 한다.

·입안으로 넘어온 피는 오심, 구토를 유발하기 때문에 삼키지 말고 뱉어낸다.

·콧등을 엄지와 인지로 단단히 잡고 최소한 4~5분 이상 누른다.

·목덜미와 콧등에 얼음찜질(혈관 수축)을 하고, 거즈로 막는다.

·당분간 코안에 응고된 피딱지를 파내지 않도록 교육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