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

피부계의 구조, 기능, 질환 피부계의 구조, 기능, 질환 1) 피부의 구조와 기능 ①피부의 구조: 표피와 진피, 피하조직(피부밑 조직) ②피부의 기능 ㉠보호(방어) 기능: 세균이나 이물질 침입을 막고 대부분의 화학물질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 ㉡흡수 기능: 지용성 비타민 A. D 그리고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은 표피와 모공을 통해 흡수가 이루어진다. ㉢감각 기능: 신경 종말부의 자극에 의해 감각을 느낀다. ㉣체온 조절 기능: 열을 방사, 전도, 대류의 방법으로 소실시킨다. ㉤수분 균형 유지: 수분과 전해질의 상실을 막고, 피하조직의 건조를 예방한다. ㉥배설 기능: 발한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배설한다. ㉦지각 기능 *대상자의 소양감(가려움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활동 a. 방 안의 온도를 조절하고, 대상자의 기분을 전환하는 활.. 2022. 9. 21.
신경계의 구조, 기능, 질환 신경계의 구조, 기능, 질환 1) 신경계의 구조 ①뇌: 대뇌(인체의 행동과 감정을 조절), 중뇌(눈의 움직임과 청각에 관여, 몸의 평형기능 유지, 근육의 움직임 조절), 시상하부(항상성 유지에 관여, 항이뇨호르몬과 옥시토신 생성, 유리 호르몬 생성, 체온과 음식 섭취 조절, 자율신경계의 기능 통합, 시상(모든 감각을 대뇌피질로 전달), 소뇌(골격근의 운동 조절, 몸의 평형 유지), 뇌교(중뇌와 연수를 이어 주는 다리 역할), 연수(내장 기능 조절, 자율 신경계 조절, 생명 유지와 직결되는 일) ㉡척수: 외부에서 감각기를 통하여 들어온 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역할 *척수와 신경섬유 a. 척수를 지나는 신경섬유들은 대뇌와 척수 사이에서 교차한다. b. 모든 신경섬유는 한 번 교차하므로 왼쪽 대뇌반구는 몸의 오.. 2022. 9. 20.
비뇨생식기계의 구조, 기능, 질환 비뇨생식기계의 구조, 기능, 질환 1. 비뇨기계 1)비뇨기의 구조와 기능 ①구조(배설 과정): 신장→요관→방광→요도 ②기능: 요소, 요산, 크레아틴 및 기타 대사산물은 배설하고, 영양물질은 재흡수,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조절, 체내로 들어온 이물질을 배설, 혈압 조절 호르몬 등을 분비. ③성인의 일일 정상 소변 배출량은 약 1,500~2,000cc로 시간당 소변 배출량은 50cc 정도이다. 하루 400cc 이하나 시간당 30cc이하로 배출이 되면 의사에게 연락한다. 2)비뇨기 질환의 특이적 증상 정상 소변에는 요소, 요산, 크레아틴, 무기염류 등이 들어 있으며, 요실금 대상자의 간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규칙적인 배뇨 권장으로 배뇨를 다시 조절하도록 돕는다. ②욕창 등 2차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고,.. 2022. 9. 19.
간, 담관, 췌장의 구조, 기능, 질환 간, 담관, 췌장의 구조, 기능, 질환 1) 간, 담관, 췌장의 구조와 기능 ①구조 ㉠간의 구조: 인체의 가장 큰 장기로서, 복강의 우상 복부에 위치함. ㉡담낭의 구조: 배 모양으로 간 아래에 위치, 간에서 생성된 담즙(지방을 소화함)을 농축, 저장함. ㉢췌장의 구조: 위의 후방 복막 뒤에 있는 회백색의 장기. ②기능 ㉠간의 기능: 대사 기능 및 배설 기능, 조혈 기능(태생기에만 조혈 작용: 적혈구를 생산), 분비 기능(간세포는 담즙을 만들어 소화관 내로 분비함), 담즙 형성 및 신진대사, 해독작용 및 당분 저장, 프로트롬빈의 형성, 혈장 단백 합성, 철분 저장. ㉡담관의 기능: 담즙을 담낭(쓸개)에 저장시키거나, 십이지장으로 배출시키는 통로. ㉢췌장의 기능: 췌장액 매일 생성,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 2022.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