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 기계의 구조, 기능, 질환
1) 호흡기계의 구조 및 기능
①구조
㉠정상인의 1회 폐 호흡량은 500cc 정도이고, 폐포의 연면적은 약 70㎡로 확산 작용에 의해 가스교환이 이루어진다.
㉡호흡기는 두 개의 비강에서 시작해서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를 거쳐서 폐포에 이르는 것을 뜻한다.
㉢호흡 조절에 관여하는 중추는 주로 연수에 있다.
㉣호흡기는 가장 흔하며 위험한 병원체의 탈출 통로이다.
㉤횡격막(가로막): 안정 시 주로 사용되는 호흡근이다.
㉥호흡기 통로: 비강(코: 호흡기도의 첫 관문)→인두(소화기계와 호흡기계의 공동 통로)→후두→기관→기관지→폐포.
②기능: 흡기를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호기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내보낸다.
2) 관련 질환
①급성 기관지염
㉠증상: 전신적 증상(나른함, 전신 통, 오한과 발열, 호흡곤란), 국소적 증상(인후의 건조).
㉡치료 및 간호: 안정, 다량의 수분 섭취(객담 대상자의 객담 배출을 위한 간호), 고습도 유지, 해열제 사용.
②기관지 천식
㉠증상: 밤에 특히 증세가 심하며, 기침 및 호흡 소리가 요란하다.
㉡치료와 간호: 약물 투여〔기관지 확장제(아미노필린), 진정제나 수면제〕, 충분한 영양분의 유동식 음식과 수분 공급, 충분한 습도 제공, 필요시 산소 공급, 호흡 횟수와 특성을 자주 사정하고 알레르기 물질을 제거한다.
㉢예방: 알레르기 물질과 접촉 금지, 금연, 과로 금지(휴식), 호흡기 계통 감염 방지, 정신적 피로 금지(불안하고 두려워하지 않도록 정서적 지지)
*기관지경 검사
·검사 전 금식시킨다.
·검사 직후에도 구개반사가 돌아올 때까지 금식시킨다.
·객담 제거 후에 실시하며, 검사 후 인후 통과 쉰 목소리가 나므로 따뜻한 물로 양치질하게 한다.
*전신마취 후 올 수 있는 폐 합병증의 예방법: 조기 이상, 기침 및 심호흡의 권장.
③무기폐
㉠원인: 분비물, 종양, 기관지 경련 및 이물 등에 의한 기도 폐색.
㉡특징: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으로 가장 많이 오는 것이 무기폐와 폐렴이며, 특히 무기폐는 노인 대상자 수술 후에 가장 많이 오는 합병증이다.
㉢증상: 심한 고열, 오한, 흉통.
㉣치료 및 간호: 항생제 투여, 기관지 및 폐 분비물 제거, 수술요법(폐엽절제 술).
④폐렴
㉠증상: 창백, 청동색 객담, 오한과 고열, 빠른맥, 수면 장애, 청색증, 흉통, 구토와 설사.
㉡치료와 간호: 항생제 사용, 절대안정, 호흡곤란 시 파울러 씨 체위 유지, 자주 활력 징후 확인.
㉢기도 내 이물질(예: 우유 등의 수분)이 들어가 발생한 폐렴을 흡인성 폐렴이라고 한다.
⑤폐농양: 농흉 대상자의 체위는 감염된 부위 쪽으로 눕게 한다.
㉠증상: 오한, 밤에 다량의 발한, 객담 배출, 때때로 객혈.
㉡치료 및 간호: 약물 사용(페니실린), 체위 배액과 물리, 수술요법, 구강 간호.
*체위 배액과 물리 요법.
·물리요법: 가슴이나 등을 두드리거나 진동해 그 밑에 있는 분비물이 잘 나오게 하는 방법으로 체위 배액과 물리요법은 식후 즉시 하지 말고, 식후 2시간 이후 또는 식전에 하며,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해 가습기를 이용하며 진동기를 사용한다.
⑥늑막염: 늑막 천자 시에는 대상자에게 두 팔을 머리 위로 올리게 한다.
㉠증상: 흉통, 기침, 얕고 빠른 호흡, 고열, 염증 부위의 동통, 호흡곤란.
㉡치료 및 간호: 충분한 영양(고단백, 고 비타민) 및 수분 섭취, 흉부 천자 및 배액을 유도하는 약물 투여.
*고상지두의 특징
·고상지두: 만성적인 산소 결핍 시 나타나며, 손가락 끝이 곤봉 모양으로 변하며, 손톱이 숟가락처럼 굽는다.
·고상지두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 폐암, 폐농양, 기관지확장증.
·손가락 끝이 아프거나, 저리는 증상은 동반하지 않는다.
'건강한 우리 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기계의 구조, 기능, 질환 (0) | 2022.09.17 |
---|---|
내분비 기계의 구조, 기능, 질환 (0) | 2022.09.12 |
근육계와 골격계의 구조, 기능, 질환 (0) | 2022.09.07 |
기초 한방 3 (0) | 2022.08.23 |
기초 한방 2 (0) | 2022.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