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우리 몸

기초 한방학

by hotcold 2022. 8. 22.
반응형
반응형

한방 간호의 내용

  한방 간호의 가장 오래된 문헌은 소문의 장기법시론 이다

1)동양의학의 주요 특징

ㄱ.생명현상을 정신,육체적인 면을 병행하여 고찰하되 모든 병인, 증후 치료에 있어서 정신적인 면에 치중한다.

ㄴ.인간을 대자연에서 파생된 하나의 소우주로 간주하였다. 즉, 인체에 나타나는 생리 현상, 병적 변화 현상을 대자연의 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았다.

ㄷ.임상 치료면에서 인체의 생리나 병변 현상을 전체적으로 종합적으로 관찰, 인체를 상호 연관과 유기적인 기능을 가진 통일체로 보기 때문에 언제나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생명체로 관찰한다. 

2)한방 간호의 역할

ㄱ.정신 간호: 한방 간호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점은 환자의 정신(마음 가짐), 희, 노, 우, 사, 비, 공, 경의 칠정은 대상자의 질병과 관련이 있다. 

ㄴ.음식 간호: 병의 증세에 따라 선택한다. 

a.마음의 병은 온식을 금하며, 폐의 병은 한식을 금한다.

b,간의 병은 매운 것을 금하고, 마음의 병은 짠 것을 금하고, 비장의 병은 신 것을 금하고, 신장의 병은 단 것을 금하며, 폐의 병은 쓴 것을 금한다. 

3)제형의 종류

ㄱ.탕제: 용기 중에서 약물을 넣고 물을 부어 가열하여 성분을 삼출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급성 질환에 많이 응용되며 증상에 따라 용량을 가감할 수 있다.

ㄴ. 산제: 마른 약재를 균등한 세말로 하여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한 것이다.

ㄷ.환제: 각종 약물을 분쇄하여 세말로 한 후 꿀이나 물 또는 풀 등 기타 결합제를 가하여 일정한 크기로 환약을 만드는 것으로 주로 만성질환에 응용된다.

ㄹ.고제: 약물에다 물을 가하고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진하게 달여 꿀이나 설탕 등의 보조물을 넣고 농축시킨 반유동의 상태로 만든 것이다. 내복과 외용 두 종류가 있다.

ㅁ.주제: 약물을 알코올 용액이나 양조주 등에 담그고 유효 성분을 삼출시켜 복용하는 것이다.

ㅂ.정제: 약물을 세말로 하거나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농축시킨 후 부형제를 가하여 정제를 만드는 것이다.

ㅅ.엑기스제: 약물의 유효 성분을 전출한 약액을 농축시켜 약물의 일정 용량의 가용성 성분을 제품의 일정량에 일정하게 함유되도록 한 것이다.

4)탕제의 복용 방법

ㄱ.약을 먹는 횟수는 보통 1회나 3회로 한다.

ㄴ.위장에 자극을 주는 약은 식사 직후 복용한다.

ㄷ. 구토할 때에는 조금씩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복용시킨다. 

ㄹ.독성이 있는 약을 복용할 경우 처음에는 조금씩 먹는다.

ㅁ. 일반적으로 따뜻하게 복용함이 좋다.

ㅂ.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나면 횟 수를 줄이거나 복용량을 줄여 본다.

*명현 현상: 약을 처음 먹을 때 나타나는 거부반응으로 일시적으로 증상이 악화되거나 원치 않는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를 뜻한다.

5)진단법

ㄱ.맥진: 전승 의학의 여러 가지 진단법 중에 가장 우위를 차지하고, 경락의 허실을 파악하기 위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심장박동에 의해 생긴 파동이 동맥파를 따라 말초로 전달될 때 요골동맥 상에서 지두로 촉진하여 질병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 행동이다.

ㄴ. 맥진계는 주로 요골동맥에 부착하여 요골 동맥의 측맥파를 기록한다.

 

오장육부와 오관, 오축

1)오장육부

인체 내부 장기를 5장 6부로 나누는데, 5장은 간, 심, 비, 폐, 신을 말하고, 6부는 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를 의미한다.

ㄱ.오장

a.심:피을 만들고 신을 간수하는 곳으로 인간의 중심이다.

b.신:인간의 정에 관계되는 곳으로, 남성의 생식기능과 관련이 깊다.

c,간:심에서 생긴 피를 간수하는 곳으로, 여성의 생식기와 관련이 깊다.

d.비: 피를 조정하고 순환을 총괄하는 곳이며, 또한 음식물에서 영양분을 받아 들여 전신에 보내는 작용을 한다.

e.폐: 기를 다스리는 곳이다.

ㄴ.육부: 육부란 위, 소장, 대장, 방광, 담, 삼초를 가리킨다.

ㄷ.오장육부의 표리관계: 간-담, 신-방광, 폐-대장, 심-소장, 비-위.

2)오관, 오축

ㄱ. 오관: 눈, 귀, 코, 혀, 피부의 5가지 감각기관으로써,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뜻한다.

ㄴ. 오축: 소문의 생기통천론과 오행학설(화를 기준)에서는 오축을 닭, 양, 소, 말, 돼지로 분류하고 있다.

a.간=계: 간허에 좋다.

b.심=양: 심허에 좋다. 

c.비=우: 비허에 좋다.

d.폐=마: 폐허에 좋다.

e.신=돈: 신허에 좋다.

 

경락과 경혈

1) 경락

ㄱ.개념: 예로 부터 침이나 뜸으로 병을 고치는 것은 경락이라는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계통의 이상 상태를 침구시술로 조정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경락은 침구 의학의 본질이 되는 것이었다.

ㄴ.경락의 종류

a.경맥: 경락 안에서 줄기를 이루는 굵은 주요 부분.

b.낙맥: 경맥을 상호 연결하여 교통하는 보다 가는 맥.

c.경근: 사지의 말단에서 시작하여 사지의 관절을 돌아 흉배부에 분포하고 두신부에서 끝나는 12 경로

d.경수: 명확하지 않지만 경맥에 관한 비유적인 설명.

2)어혈의 특징

ㄱ.어혈이란 축혈이라고도 부르며 전신의 혈액 운행이 순조롭지 못한 것을 말한다.

ㄴ. 어혈이 경맥을 막아 통하지 못하면 통증이 생긴다.

ㄷ. 한열이 지나치게 왕성해도 어혈이 생긴다.

ㄹ. 외상 어혈은 상한 부위에 청자색 혈종이 보인다.

ㅁ. 어혈은 발생 부위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3)경혈

ㄱ. 경혈은 인체의 중요한 기초적 물질인 기와 혈이 지나는 통로인 경락을 따라 신체의 바깥 부분에 위치한다.

ㄴ. 기가 모이고 출입하는 곳이라 하여 혈이라 지칭한다.

ㄷ. 신체 표면에 있는 뜸, 부항, 침 치료의 자극점으로서 경락상에 있어서 침을 놓거나 뜸을 뜨기에 적당한 위치다.

 

 

반응형

'건강한 우리 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계와 골격계의 구조, 기능, 질환  (0) 2022.09.07
기초 한방 3  (0) 2022.08.23
기초 한방 2  (0) 2022.08.23
영양과 에너지 대사  (0) 2022.08.21
기초 영양  (0) 2022.08.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