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행정의 이해
보건행정은 일반적으로 정부와 공공 단체가 국민 또는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유지,
향상 시키기 위하여 수행하는 행정을 의미한다.
1)보건행정의 특징 및 범위
ㄱ. 보건행정의 특징: 공공성 및 사회성, 봉사성, 조장성 및 교육성, 과학성과 기술성,
행정 대상의 양면성, 보건의료에 대한 가치의 상충
ㄴ.세계보건기구(WHO)에서 규정한 보건행정의 범위
보건 관련 통계의 수집, 분석, 대중에 의한 보건교육, 환경위생, 감염병 관리,
모자보건, 의료, 보건 간호, 재해 예방
2)보건 행정의 관리 요소
귤릭(GULICK)의 관리 과정은 7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ㄱ.기획(PLANNING,P): 조직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해야 할 일과
그 방법을 개괄적으로 확정하는 행위
ㄴ.조직(ORGANIZING,O): 목표의 성취를 위하여 공식적 권한의 구조를 설정하고,
분업을 행하며, 각 직위의 직무 내용을 확정하는 행위
ㄷ.인사(STAFFING,S): 직원을 채용하고 훈련하며, 좋은 근로조건을 주도록
노력하는 행위
ㄹ.지휘(DIRECTING,D): 관리자가 의사 결정을 하고, 그에 따라서
각종의 명령을 발하는 행위
ㅁ.조정(COORDINATION,CO): 업무의 모든 부문간의 상호 관계를 정하여 주는 행위
ㅂ.보고(REPORTING,R): 관리자와 그의 부하가 신속하고 정확한 보고를
접수하게 하는 행위
ㅅ.예산(BUDGETING,B): 예산의 편성, 회계, 통제 등을 하는 행위
보건지표
1)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한 모자보건지표
아동의 영양 및 정신발달 상태, 영아 사망률, 유아사망률, 평균수명, 모성사망률,
사인별 사망률, 발생률, 유병률, 신체 장애율, 사회적, 정신적 건전성 등이 있다.
2)출산지표
ㄱ.조출생률: 보통출생률이라고도 하며, 인구재생산의 주요 지표이다.
조출생률=같은 해의 총 출생아 수/특정 연도의 연앙인구X 1,000
ㄴ.일반출산율: 인구 재생산의 주요 지표로 사용된다.
ㄷ.모아비: 모아비는 출생 관련 지표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모아비=0~4세 인구/가임 여성 인구X100
ㄹ.기타: 합계출산율, 연령별 출산율 등
3)사망지표
ㄱ.조사망률: 보통 사망률이라고도 하며, 인구 1,000명 당 1년간 발생한
총 사망자 수로 표시하는 비율이다.
조사망률=같은 해의 총 사망자 수/특정 연도의 연앙인구X1,000
ㄴ.영아사망률: 국가별 보건지표 및 지역사회의 건강 상태나 보건사업 수준을
평가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된다. 영아 사망률이 한 국가의 건강 수준
및 보건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대표적인 이유는 일정 연령군이므로
통계적 유의성이 높고, 모자보건 수준이나 환경위생 수준이 높아지면
영아기 사망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영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경제 상태, 교육 정도, 환경위생 상태 등이 있다.
영아 사망률=같은 해의 1세 미만 사망아 수/특정 연도의 총 출생아 수X1,000
ㄷ.신생아 사망률: 영아 사망 수 중에서 신생아 사망 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질수록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건강 수준이 높다.
ㄹ.주산기 사망률: 모자보건 분야의 건강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ㅁ.모성사망률과 모성사망비: 모성사망이란 임신, 분만, 산욕의 합병증 등으로
인한 산모의 사망을 말한다.
*모아사망률=
같은 해의 임신, 출산, 산욕으로 인한 모성 사망자 수/
15~49세 가임 여성 수X100,000
*모아사망비=
같은 해의 임신, 출산, 산욕으로 인한 모성 사망자 수/
특정 연도의 출생아 수(연간 출생아 수)X100,000
ㅂ.기타:비례사망지수, 사산율 등
4)질병 관련 지표
ㄱ.발생률
a. 감수성 있는 인구집단에서 특정 질병이발생한 수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b. 어떤 시점에서 새롭게 나타난 질병이나 상해 수에 대한 비율이다.
ㄴ.유병률
a. 전체 지역사회 주민 중 특정 질병이나 건강 문제에 이환되어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b. 주어진 시점에 나타나 있는 모든 질병이나 상해 수의 비율이다
보건행정 조직
1.중앙 보건기구:보건복지부
ㄱ.의료자원 정책과:보건의료인 국가시험의 관리에 관한 사항,
보건의료 인력에 대한 수급정책의 수립 및 조정, 의료인 등의 보수 교육 관리
및 지도 등
ㄴ.보건의료 정책과: 보건의료정책에 관한 종합계획 담당
ㄷ.보건복지부 소속, 관련 기관
a. 질병관리본부:급, 만성 질환 관리, 고혈압, 당뇨병 등 비전염성 질환 관리
b. 국립중앙의료원: 의료조사연구, 진료, 의료요원 훈련, 대상자 영양관리
c.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의료 및 약사, 간호사등의 시험 주관
2.지방 보건 기구: 보건소
1)보건소의 조직
ㄱ.시, 군, 구에 설치 되어 있으며 최일선에서 보건 행정을 담당하는 말단 조직이다.
ㄴ.보건소의 인사권은 시장, 군수, 구청장이 담당하며, 보건소는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소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ㄷ.보건소는 국가의 보조를 받으며, 보건 계몽 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ㄹ.보건의료원: 보건소 중 병원의 요건을 갖춘 기관이다.
ㅁ.보건소 간호사업
a. 대상: 지역사회 주민 전체
b. 목적: 주민의 건강에 초점을 갖고 그들의 건강 요구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건강 문제 발생 시 의료기관에 의뢰해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2)보건소의 기능과 업무
ㄱ.건강 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ㄴ.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 조사, 연구, 평가
ㄷ.보건의료인 및 보건의료기관 등에 대한 지도, 관리,
육성고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지도, 관리
ㄹ.보건의료 관련 기관, 단체, 학교, 직장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ㅁ.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관리를 위한 다음의
지역 보건의료 서비스의 제공
a. 국민 건강 증진, 구강건강, 영양관리 사업 및 보건 교육
b.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c.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 유지, 증진
d. 여성, 노인, 장애인의 건강 유지, 증진
e. 정신건강 증진 및 생명 존중에 관한 사항
f. 지역 주민에 대한 진료, 건강검진 및 만성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
g. 가정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
*보건소 보건 프로그램 운영 시 고려 사항
-보건소에서는 보건 프로그램 운영 시 우선 지역 주민의 보건(건강) 요구도에 대해
조사를 먼저 실시한다.
-생애주기별 보건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 성인층은 흡연 예방과 금연 사업을 ,
노인층에서는 정신건강 문제를, 산모와 영, 유아층에서는 산모의 산전관리를 1순위로
선택했다.
3)보건지소, 보건진료소
ㄱ.보건지소: 보건소의 하부조직으로 읍,면(보건소가 설치된 읍, 면은 제외)마다
1개소씩으로 한다.
ㄴ.보건진료소: WHO의 일차 보건관리를 국가 정책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농어촌
보건의료 지역의 주민에 대한 보건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980년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해 1981년부터
설치되었다. 벽, 오지 지역 사회 간호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보건의료 인력은 보건 진료 전담 공무원이다.
'건강한 우리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간호 기초 2 (0) | 2022.09.01 |
---|---|
아동 간호 기초 (0) | 2022.08.31 |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0) | 2022.08.27 |
감염병 관리 사업 (0) | 2022.08.25 |
공중 보건학 (0)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