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간호
성장과 발달
성장과 발달은 인간과 환경과의 역동적 관계에서 평생 동안 일어나는 양적, 질적인 변화 과정이다. 즉, 변화의 총체이며 역동적인 과정이다. 성장과 발달은 대체로 영아기와 사춘기 및 청년기에 가장 빠르다.
1) 아동 운동발달의 특성: 신체의 각 부분은 각기 다른 속도로 성장하며, 다음의 순서로 발달, 분화 된다.
a. 머리에서 발끝방향으로 발달.
b. 큰 근육에서 작은 근육순서로 발달.
c. 몸의 중심에서 말초방향으로 발달.
d. 전체활동에서부터 부분활동으로 분화.
e. 일반적인 면에서 특수한 면으로 발전.
2)성장발달의 영향요소: 유전(체격, 성, 인종과 국적), 환경(산전, 산후 환경)
*에릭슨의 정서적 발달
영아기(0~1세): 신뢰감 대 불신감
유아기(1~3세): 자율성 대 수치감
학령 전기(3~6세): 자발성(주도성) 대 죄책감(죄의식)
학동기(6~12세): 근면성 대 열등감
청소년기(12~18세): 자아정체감 대 역할 혼돈
성인 초기(18~40세): 친밀감 대 고립감
중년기(40~60세): 생산성 대 침체성
노년기(60세 이상):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프로이트의 심리적, 성적 발달
구강기(생후 약1세): 성감대(입)
항문기(1~3세): 성감대(항문)
남근기(3~6세): 성감대(성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
잠복기(6~12세): 성적 온화기
생식기(12~성인기): 성적 성숙기
신생아의 간호
1)신생아의 일반적 특성
a. 신생아의 신장: 생후 1년이 되면 출생시 1.5배 가량 증가
b. 신생아의 체중: 영유아기 성장, 발육지표로서 가장 중요
*신생아의 생리적 체중 감소(정상적 감소)
①정의: 출생 후 3~4일부터 시작해서 수일간 출생 시 체중의 5~10%가 소실되는 것을 의미한다.(예: 출생 시 3.5kg인 아기의 체중이 1주일 이내 10%가 감소한 경우
②원인: 모체로부터 호르몬 공급 상실, 수분 공급 억제, 대소변 배출, 흡수량보다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다.
c. 활력징후
①체온: 보통 신생아의 경우 체온은 어른보다 다소 높으며 36.1~37.7℃이다
②호흡: 신생아 간호 시 가장 유의할 점으로 신생아의 호흡은 불규칙하며 35~50회/분이고, 복식호흡을 한다.
③맥박: 신생아의 맥박은 불규칙하고 빠르며(120~150/분 정도), 수면시 측정해야 정확하다.
④혈압: 최고혈압은 80~90mmHg이고 사춘기에는 110~120mmHg가 된다.
d. 생리적 황달: 신생아(24시간 이내)에게 나타나는 황달은 용혈성 질환(핵황달)이라 하여 위험하므로 의사에게 알린다.
①생리적 황달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없다.
②생후 2~3일경에 나타났다가 약 7일 후 거의 없어진다.
e. 위장계
①태변: 생후 8~24시간 후 배출(암녹색: 약 3일간 나옴)
②이행변: 생후 4~14일 사이의 묽고 점액을 포함한 녹황색변
f. 신경계: 신생아 뇌손상 시 비정상적인 반사반응을 보이거나 소실된다.
①모로 반사: 출생 즉시 사정하여 뇌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②바빈스키 반사: 발바닥의 외면을 가볍게 긁으면 발가락을 뻗거나 구부리는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가장 늦게 소실된다.
g. 두부
①대천문: 전두골과 두정골 사이로서 생후 12~18개월에 폐쇄된다.
②소천문: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로서 생후 6~8주에 폐쇄된다.
2)신생아 간호
a. 출생 즉시 사정 내용: 아프가 점수, 체온, 맥박, 호흡, 혈압, 피부 색깔, 의식 정도, 신장 등이며, 가장 먼저 관찰할 사항은 호흡 상태이다.
*아프가 점수: 신생아가 완전히 만출된 후 심박동수, 호흡상태, 근 긴장도, 반사반응(발바닥 자극), 피부 색깔의 5가지 항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신생아의 상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점수이다.
-피부 색깔: 0-청색 또는 창백, 1-몸은 분홍색, 사지는 청색, 2-몸 전체가 분홍색.
-심박동수: 0-없음, 1-느리다(100회/분 이하), 2-100회/분 이상.
-반사 반응: 0-반응 없음, 1-약간 반응, 2-잘 반응한다.
-근 긴장도: 0- 늘어져 있음, 1-사지가 약간 굴곡된 상태, 2-잘 굴곡된다.
-호흡 상태: 0- 없음, 1-느리거나 불규칙하다, 2-힘차게 운다.
b. 신생아의 일반적 간호
①생후 24시간 이내의 황달이나 호흡 시 흉곽 함몰 등의 증상을 발견하면 즉시 의사나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②생후 3일 된 아기의 맥박과 호흡이 정상범위에서도 상한치에 해당될 때 가장 먼저 흥분이나 울고 난 후의 상태가 아닌지 확인하고 그럴 경우 정상이기 때문에 그대로 둔다.
③신생아가 있는 방은 항상 온도 22~26℃, 습도 55~65%로 유지하도록 하며, 신선하고 맑은 공기로 환기를 도모한다.
④분만 후 신생아가 불결하다고 생각될 경우 체온이 안정적이고 체중이 2.5kg이 넘으면 언제든지 통목욕이 가능하다.
⑤제대 부위는 건조시키며 매일 65~75% 알코올로 닦아준다.
⑥신생아를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하며, 호흡 상태를 잘 살피고, 방문객을 제한한다.(감염 예방).
⑦신생아 목욕: 조산아는 오일목욕을 시키며, 일반 신생아 목욕물의 온도는 팔꿈치를 대어보아 측정하고, 통목욕 시 발부터 물속에 담근다. 목욕 시간은 5~10분 정도, 매일 같은 시간에 하고, 수유하기 전에 한다. 신생아 피부에 있는 태지는 1~2일까지는 제거하지 않는다.
⑧출생 후 1주일 이내에 신생아 사망이 가장 많으므로 세심한 간호 및 관찰기록이 필요하다.
⑨출생 후 가장 먼저 신생아의 기도 내 이물질을 제거해 주고, 기형 유무를 확인하며, 제대는 소독된 제대사로 묶고 소독가위로 절단한다.
*출생 후 24시간 이내의 신생아 간호: 머리를 낮추고 고개를 옆으로 돌려 눕힌다. 제대 절단 부위의 출혈 관찰, 태변 배출 유무 관찰, 40℃ 물의 통목욕
'건강한 우리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 유아의 간호 (0) | 2022.09.03 |
---|---|
아동 간호 기초 2 (0) | 2022.09.01 |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0) | 2022.08.27 |
보건 행정 (0) | 2022.08.27 |
감염병 관리 사업 (0) | 2022.08.25 |
댓글